상단영역

본문영역

김태훈 칼럼-자살과 우울증의 상관관계

  • Editor. 트래비
  • 입력 2008.10.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얼마 전 한 연예인이 자살하여 우리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자살공화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자살률이 급증하고 있다. 자살은 스스로 삶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생명체란 삶에 대한 애착이 매우 강해 죽음에 임박하게 되면 어떻게 하든 살기 위해서 본능적으로 몸부림친다. 이런 사실들은 양육 강식이 적용되는 자연에서, 또는 재난 현장에서 극적으로 구출되기까지 삶을 포기하지 않는 휴먼드라마를 통해서도 누누이 보아 왔다. 따라서 자살이란 본능을 거역하는 가장 극단적인 행위로 그렇게 되기까지 심적으로 매우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러한 맥락 안에 우울증이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살 원인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울증 치료가 중요하다 하겠다.

우울증은 대부분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된다. 이는 정신과 치료에 대한 잘못된 편견과 오해 때문일 수도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대부분의 우울증은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이다. 우울증이 심할수록 본인이 우울증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울증 치료를 하기 위해서 약물 처방을 할 때 대부분 우울증 환자들은 ‘나 우울증 없다. 아무 이상 없으니 정신과 약을 먹지 않겠다’고 하면서 정신과 치료를 거부한다. 이런 것이 바로 우울증이다. 우울증 진단 기준 중에서 ‘본인 및 타인이 느끼는 지속적인 우울한 기분’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진단 기준에서 타인이라는 말이 삽입된 것은 우울증 환자 스스로는 그 우울한 기분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문화 정서상 본인의 기분을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다. 흔히 불괘한 기분과 연관된 것은 직설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아 우울한 기분에 대한 표현은 잘 하지 않는 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우울증 진단과 우울증 환자 중에서 자살 가능성을 예측하는 일이란 어렵고도 힘들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우울증 증후가 있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것 중 하나는 화가 잘 난다, 소위 짜증이 많이 난다는 것이다. 그 외에 사는 것이 재미도 흥미도 없다고 호소한다. 과거 ‘홧병’이라고 표현한 것들이 바로 우울증에 해당한다. 스스로 돌아볼 일이다.

 

저작권자 © 트래비 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최신기사
트래비 레터 요즘 여행을 알아서 쏙쏙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