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가을철 두피 모발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 번째, 샴푸를 할 때에는 두피 마사지를 겸해서 두피를 5분 이상 청결히 씻어 주고 시원한 바람으로 말린다. 두 번째, 건조해진 두피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천연 에센스나 트리트먼트를 사용한다. 세 번째, 건조한 환경으로 몸 속 역시 건조해지기 쉽기 때문에 충분히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네 번째, 두피로의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목이나 어깨의 스트레칭이나 경락마사지를 해준다. 다섯 번째, 꽉 조이지 않는 헐렁한 모자 등으로 자외선이 직접 닿는 것을 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을철 폐기운이 약해지면, 잦은 기침, 건조함으로 인한 가려움증, 탈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직접적인 두피관리 이외에 몸 치료가 필요하다. <동의보감>의 燥(건조할, 마를 조)문에 보면 화열(火熱)은 진액(津液)을 소모시키므로 조증(燥證)이 되는 것으로, 겉이 조(燥)하면 피부가 건조해 터지고 가려우며, 속이 조(燥)하면 정혈(精血)이 고갈되어 골육(骨肉)을 영양하지 못해 몸이 뻣뻣하고 당기는 증상이 발생된다고 하였으며, 상초(上焦-몸의 상부)가 조(燥)하면 목구멍과 코가 몹시 마르고, 하초(下焦-몸의 하부)가 조(燥)하면 대소변이 막힌다고 했다. 위의 설명에 비추어 자신의 몸이 얼마나 燥(건조할, 마를 조)한지를 가늠해 보고, 두피의 가려움증이나 탈모가 있지 않더라도 기타 자각증상이 심하다면, 심한 조병(燥病)으로 인해 가을탈모가 발생하기 쉬우니 가을탈모예방을 위해 생활관리를 잘 해야 한다.
*정기영 선생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비만학회, 부인과학회, 대한알러지학회 및 대한약침학회 회원이며 현재 경희 봄한의원 원장으로 진료 중이다. www.bom_diet.com
저작권자 © 트래비 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